■ 강진원 / 경제부 부동산팀 기자<br /><br />[앵커]<br />앞으로 5년 동안 50조 원이 투입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확정되면서 낙후 주거지와 구도심을 중심으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우려되는 부작용도 적지 않아서 보완책을 제대로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경제부 부동산팀 강진원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 <br />먼저 도시재생 뉴딜 사업, 좀 이름이 어려운데 어떤 내용인지 알아야 될 것 같아요.<br /><br />[기자] <br />쉽게 말해서 구도심과 낙후된 도심 환경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도로와 상하수도와 같은 기반시설을 정비를 하고요. 노후주택 개량이나 주차장, 어린이집 같은 마을 공동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과거 뉴타운이나 재개발 같은 전면 철거 방식은 아니고 기존에 있는 그런 가로, 그러니까 도로를 유지하는 큰 틀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거주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사업이 지난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이 제정이 되면서 그 이후부터 사실 추진이 돼 왔었거든요. 그런데 앵커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사실 일반인들이 잘 와 닿지 않는 생소한 사업이지 않습니까?<br /><br />그게 지역이라든지 후보지라든지 예산이 적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던 사업인데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초에 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을 하겠다라고 대선공약으로 발표를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 사업 자체가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이 됐고요. 이제 앞으로 적극적으로 추진이 될 것 같습니다. 지금 그래픽을 보고 계시는데 도시재생 뉴딜사업, 그러니까 매년 10조 원씩 5년 동안 50조 원을 투입하겠다는 거거든요.<br /><br />그래서 이 투입한 돈을 가지고 전국 500개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겠다는 내용입니다. 정부가 그러니까 매년 10조 원씩, 그러니까 사업체 한 곳당 약 1000억 원가량이 투입될 예정인데요. 국고 2조 원과 토지주택공사 LH에서 3조 원, 그리고 주택도시기금에서 연 5조 원씩 기금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달 초에는 이들 사업을 총괄할 도시재생사업기획단도 출범을 했는데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 4일) : 지난 2013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2417030380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